세계 4대 공작기계 전시회이자 국내 최대 생산제조기술 전시회인 ‘제17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이하 SIMTOS 2016)’이 2년여의 기다림 끝에 13일 성대한 막을 올렸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이번 SIMTOS 2016은 13일부터 17일까지 닷새간 10만2천㎡ 면적의 전시장에서 35개국 1천125개사가 참여하는 등 역대 최대규모로 개최된다.
이번 전시회에는 공작기계 뿐만 아니라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자동화시스템 등 스마트공장을 비롯한 제조 트렌드의 현황과 미래상이 중점 제시될 예정이다.
ICT융합 공작기계, 제조로봇 결합 무인자동화시스템 등 스마트공장 하드웨어 및 제조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를 전시하는 특별관을 운영된다.
그 밖에 ▲금속절삭 및 금형가공관 ▲부품·소재 및 모션컨트롤관 ▲자동화·캐드캠·측정기 및 로봇관 ▲공구 및 관련 기기관 ▲금속절단가공 및 용접관 ▲프레스 및 성형기계관 등 분야별 제조기술 전시관도 운영한다.
더불어 해외수출지원을 위해 국내외 바이어 1:1 상담회와 8개 전문 분야별 기술세미나가 함께 진행될 예정으로 생산업계에는 제품 홍보와 국·내외 비즈니스 확대의 기회가 되고, 수요업계에는 공작기계와 그 주변기기 및 로봇 등 관련 최신 기술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13일 열린 개막식에는 주형환 산업부 장관을 비롯해 손종현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회장, 권영렬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명예회장, 임용택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박순황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요시마로 하나키 일본 공작기계협회장, 응웬 반투 베트남기계산업협회장, 루디 안드리야나 인니 공작기계협회장 등 국내외 주요 공작기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주 장관은 이 자리에서 “지난해 전반적으로 수출이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우리 공작기계는 0.7% 수출이 증가하며 선전했다”고 공작기계 업계 종사자들의 노고를 치하한 뒤 “우리 주력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대체 신산업이 창출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에 그 원인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제조현장에 ICT를 접목하여 제조공정을 혁신하고 제품을 고도화시켜야 한다”며, “정부는 스마트공장을 산업 전반으로 확산시키고 시스템 위주의 공작기계 산업 전환을 지원하는 동시에 기술력 있는 중소·중견기업의 유망 수출시장 개척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SIMTOS 2016에 대해 공작기계산업협회 측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는 금속가공기술의 새로운 트렌드를 볼 수 있도록 공작기계를 비롯한 부품, 자동화, 공구, 절단 및 프레스 등 6개 전문관을 알차게 준비했다 며 “아울러,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제조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특별관을 마련해 시연하는 모습을 참관객이 직접 볼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